선한영향조아 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반응형

전체 글224

혈당과 당화혈색소 뭐가 다를까? 혈당은 말 그대로 혈액 속에 포함된 포도당(Glucose)의 농도를 말합니다. 우리가 음식을 먹으면 탄수화물이 소화되어 포도당으로 분해되며, 이 포도당이 혈액을 통해 전신에 공급됩니다. 세포는 이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합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거나 분비가 부족하면, 혈액 속에 포도당이 정상보다 많이 남게 되어 고혈당 상태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공복 혈당은 125mg/dL는 '공복혈당장애'로 분류되고, 126mg/dL 이상이면 당뇨병을 의심하게 됩니다. 혈당은 특정 시점의 수치를 나타내기 때문에 하루에도 여러 번 수치가 바뀔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식사 직후에는 높아지고, 운동을 하면 낮아지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동 합니다. 이처럼 혈당은 현재 상태.. 2025. 7. 18.
당화혈색소가 뭐지? 당뇨병을 진단하거나 관리하는 데 자주 등장하는 단어가 바로 당화 혈색소(HbA1c)입니다. 병원에서 혈액 검사를 받은 뒤 당화혈색소 수치가 높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걱정이 앞서기도 합니다. 그런데 당화혈색소가 정확히 무엇인지 왜 중요 한지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당화혈색소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쉽고 자세하게 설명해드립니다.1. 당화혈색소란 무엇인가요?당화혈색소(HbA1c)는 우리 몸속 적혈구에 있는 혈색소(헤모글로빈)가 혈당(포도당)과 결합하면서 생기는 물질입니다. 우리가 밥이나 간식을 먹으면 혈액 속에 포도당이 증가하는데 이 포도당이 혈색소와 결합하게 되면 당화가 일어납니다. 이때 만들어지는 것이 바로 당화혈색소입니다. 적혈구는 약 120일(4개월) 동안 우리.. 2025. 7. 18.
우리나라 당뇨 환자 이미 천만 명 넘었다!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는 이미 천만 명을 넘어섰다고 합니다. 이는 국민 5명 중 1명이 당뇨를 앓고 있다는 의미로, 그만큼 당뇨병이 흔하고도 심각한 질병임을 나타냅니다. 특히 고령 인구 뿐만 아니라 30~40대에서도 당뇨병이 급증하고 있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유전적 요인이 주요 원인이었지만, 최근에는 서구화된 식습관, 운동 부족, 스트레스, 수면 부족 등 생활 습관이 당뇨병 발병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1. 당뇨병 예방과 조기 진단의 중요성문제는 많은 사람들이 당뇨병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을 느끼지 못해 병을 방치하거나 뒤늦게 진단을 받는다는 점입니다. 이로 인해 합병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예방과 조기 진단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단순한 피로감이나 갈.. 2025. 7. 16.
당뇨 환자 올바른 과일 섭취 방법 당뇨 환자 올바른 과일 섭취 방법입니다. 과일은 자연이 준 선물이라는 표현이 있을 정도로 오랫동안 건강한 식단의 일부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풍부한 비타민, 미네랄, 섬유질은 물론 천연 당분이 포함되어 있어 인공적으로 가공된 간식보다 상대적으로 건강에 좋은 선택으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것도 어떻게 먹느냐에 따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과일이라고 무조건 많이 먹거나 아무 때나 먹는 것이 바람직하지는 않으며, 올바른 섭취 방법을 익히는 것이 필요합니다. 1. 공복 상태에서 과일 섭취 하면! 공복 상태에서 과일을 섭취하면 산이 강한 과일을 섭취할 경우 위 점막을 자극할 수 있고, 하루에 필요한 당류 섭취량을 초과하게 되면 오히려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당뇨병이나.. 2025. 7. 16.
건강식이라는 착각! 한식이 당뇨에 안전할까? 건강식이라는 착각! 한식이 당뇨에 안전할까? 한식은 전통적으로 건강한 음식이라는 이미지가 강하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 나물과 발효 식품이 많고 튀기기보다는 삶거나 굽는 조리법을 선호하고 식물성 재료의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왔습니다. 그러나 현대화 된 식습관과 조리 방식 그리고 식 재료의 변화는 이러한 이미지와는 다른 현실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특히 당뇨병과 관련하여 한식은 오히려 고위험 식단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전통적인 한식 구조 자체가 탄수화물과 나트륨 당분 섭취를 지나치게 높이는 방식으로 바뀌었기 때문입니다.1. 주범은 흰쌀밥의 혈당 폭탄 주범은 흰쌀밥의 혈당 폭탄입니다. 핵심은 단연코 흰쌀밥입니다. 문제는 이 밥이 대부분 흰쌀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입니다. 흰쌀은 정제 과.. 2025. 7. 15.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